01. 라우팅
- 라우팅이란 데이터가 송신지에서 수신지까지 이동하는 최적의 경로를 설정하는 것이다.
- 크게는 정적라우팅과 동적 라우팅으로 분류할 수 있다.
02 . 정적 라우팅
- 네트워크 관리자가 직접 라우팅 테이블에 라우팅 경로를 입력하여 관리하는 방법이다.
- 네트워크 정보를 쉽게 추가하고, 경로를 직접 제어할 수 있다.
- 네트워크 장애가 있는 경우에 관리자가 직접 대체 경로를 입력해줘야 하므로 변화가 적은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하다.
03. 동적 라우팅
1) 거리 벡터 라우팅
- 인접 라우터와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교환해서 패킷 전송을 위해 거쳐야 하는 라우터의 개수로 거리를 산정하여 최적의 라우팅 겨오를 수립하는 방법
- 네트워크의 변경이 발생하면 정확한 정보를 파악하는 데 시간이 걸린다.
- 간단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 많이 사용된다
(1) RIP
- 설정하기 쉽고 간단하다.
- 라우팅 테이블에 동일 네트워크에 포홤된 각 라우터에 도달하기 위해 거쳐야 하는 라우터들의 최대 수와 각 라우터에 도달하기 위해 이동해야 하는 다음 라우터 정보를 관리한다.
- 최단 경로 탐색에 Bellman-Ford 알고리즘을 사용한다.
(2) BGP
- 다양한 프로토콜 정보를 한꺼번에 교환할 수 있다.
- 관리자의 의도대로 경로를 동적으로 변환할 수 있다.
- BGP를 사용하는 호스트에 변경이 감지되었을 때에망 갱신된 라우팅 테이블 정보를 보내는데, 오직 연관된 부분만 보내진다.
2) 링크 상태 라우팅
- 연결된 모든 라우터로부터 연결 상태 정보를 수신하여 각 라우터까지 최단 경로를 라우팅 테이블로 만드는 방법으로 OSPF 등의 프로토콜을 이용해 라우터간 정보를 교환한다.
- 전체 네트워크의 링크 상태 정보를 받아 각자 처리하므로 전체 네트워크의 경로 변화를 파악하는 데 유리하다.
(1) OSPF
- 라우터의 연결 상태가 변경된 경우 동일 네트워크에 포함된 모든 라우터에 자신의 변경정보를 전달하고 정보를 수신한 라우터들이 각 라우터에 접근하기 위한 최적의 네트워크 경로를 갱신하는 방법이다.
- 네트워크 변화에 신속하게 대처하는 알고리즘이다.
- 멀티캐스팅을 지원한다.
- 최단 경로 탐색에 Dijkstra 알고리즘을 사용한다.
'CS > 정보처리산업기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공통 모듈 설계 - 소프트웨어 아키텍처 (0) | 2025.03.21 |
---|---|
공통 모듈 설계 - 설계 모델링 (0) | 2025.03.21 |
네트워크 기초 활용 - 데이터링크 제어 프로토콜 (0) | 2025.03.21 |
네트워크 기초 활용 - TCP/IP 프로토콜 (0) | 2025.03.21 |
네트워크 기초 활용 - 네트워크 개요 (0) | 2025.03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