01. 상수의 개념
- 항상 고정된 값을 갖는 자료로, 변경 불가능
- 유형 : 정수형, 실수형, 문자형, 문자열형, 논리형
- 수명 시간 동안 고정된 하나의 값과 이름을 가진 자료로서, 프로그램이 동작하는 동안 값이 바꾸지 않는 공간이다.
02. C 프로그램의 상수
- 정수형 상수 : 10진수, 8진수, 16진수 표현가능
- 실수형 상수 : 소수 형식, 지수 형식
- 문자형 상수
- 키보드 문자 + escape 문자
- 작은 따옴표로 묶음 1개의 영문자나 숫자문자 혹은 특수문자
- 내부적으로는 ASCII코드값으로 저장
- 문자열형 상수 : 큰 따옴표로 묶은 여러 개의 영문자 및 숫자문자나 특수문자
03. 변수
- 변수는 프로그램 실행 중 변경할 수 있는 값이 저장되는 기억공간
- 프로그램에서 하나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기억 장소의 이름을 의미
- 변수는 이름, 값, 속성, 참조 등의 요소로 구성
- 변수명은 프로그래머가 각 언어별로 변수명을 만드는 규칙에 따라 임의로 명명
- 변수는 묵시적으로 변수형을 선언할 수도 있고, 선언문을 사용할 수도 있다.
- 변수의 유형은 컴파일 시간에 한 번 정해지면 일반적으로 그대로 유지한다.
- 변수의 수명은 할당된 변수가 값을 저장할 기억장소를 할당받은 때부터 그 기억장소가 더 이상 변수값을 의미하지 않을 때까지의 시간을 의미하며, 바인딩 이후 변수를 사용할 수 있다.
04. 변수의 선언문
1) 변수의 선언문
- 변수명과 자료형을 결정하여, 기억공간을 할당
- 프로그램 실행 시 사용할 데이터의 속성 정보를 컴파일러에게 알려주는 문장
- 효율적인 주기억 장치의 관리가 가능
- 정적형 검사가 가능
{
int a;
int A;
int Age;
float b;
char c;
}
2) C언어의 변수명 정의 규칙
- 변수명은 식별자이므로 영문 대소문자, 숫자를 혼합하여 명명한다.
- 대소문자 구별하며, 변수명으로 예약어를 사용하는 것을 금지한다.
- 밑줄을 제외한 모든 특수문자의 사용을 금지한다.
- 숫자로 시작하는 것을 금지한다.
- 데이터의 의미나 역할을 표현할 수 있는 이름으로 명명하는 것이 프로그램의 가독성과 유지보수성 증가를 위해 바람직하다.
05. 변수의 대입문 및 초기화
1) 변수의 대입문
- 변수에 자료를 대입하는 것이다.
- 변수의 내용을 변경하는 문장
- 프로그램에서 가장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연산문이다.
{
a = 20;
Age = 20;
A = 10+20;
A = A+1;
A = Age;
}
2) 변수의 초기화
- 변수의 선언문과 대입문을 구별하여 코딩할 수도 있지만 초기화를 통해 변수선언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특정 값을 부여할 수도 있다.
{
int kor = 90;
double pi = 3.14;
char level = 'A';
}
06. 변수와 C언어의 scanf() 함수
- 대입 연산자를 통해 변수에 값을 대입할 수도 있지만 콘솔을 통해 사용자가 직접 원하는 값을 변수에 대입하고자 할 때 C언어에서는 scanf() 함수를 이용하여 처리한다.
1) scanf() 함수
- 기능 : 콘솔 화면에서 키보드로부터 자료를 주어진 입력 형식으로 입력시키는 함수
- 형식
#include <stdio.h>
scanf("입력형식", &입력대상1, &입력대상2, ...);