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/정보처리산업기사

운영체제 기초 활용 - 운영체제 종류와 기본 명령어

jjh0119 2025. 3. 21. 16:48

01. 운영체제 종류

1) Windows

  • Microsoft사 제품으로 유료로 다양한 라이선스 정책이 적용되어 있다
  • 주로 중소 규모 및 개인용 PC의 OS로 활용된다
  • GUI(Graphic User Inferface) 지원 : 사용자가 컨트롤 하는 마우스의 아이콘을 이용하여 소프트웨어를 실행시키는 편리한 인터페이스를 지원한다
  • 체계적인 고객지원이 가능하다
  • 마이크로소프트사만이 수정 및 배포가 가능하다
  • 문제점이 발견되었을 시 수정에 시간이 걸린다

2) Unix

  • IBM의 AIX, HP으 UX, 오라클의 솔라리스 등의 제품이 있으며, 유료로 다양한 라이선스 정책이 적용되어 있다.
  • 주로 대용량 처리, 안전성이 요구되는 서버 제품군에 사용된다.
  • 다양한 유틸리티 프로그램들이 존재한다
  • 다중 사용자, 다중 작업을 지원한다
  • 하나 이상의 작업에 대하여 백그라운드에서 수행이 가능하다.
  • 대화식 시분할 운영체제이다.
  • 계층형 구조의 파일 시스템을 갖는다
  • 대부분 C언어로 작성되어 이식성과 장치 간의 호환성이 높다
  • 커널
    • 컴퓨터가 부팅될 때 주기억 장치에 적재된 후 시스템이 꺼질 때까지 항상 주기억 장치에 상주한다
    • 가장 핵심적임 부분으로 하드웨어를 보호하고 응용프로그램들에게 서비스를 제공한다

  • - 사용자가 운영체제와 대화하기 위한 기반을 제공하는 프로그램으로 명령어를 해석하고, 오류의 원인을 알려주는 역할을 수행한다.
    -사용자가 입력시킨 명령어 라인을 읽어 필요한 시스템 기능을 실행시키는 명령어 해석기이다.
    • 시스템과 사용자 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.

3) Linux

  • 유닉스를 기반으로 개발된 UNIX 호환 커널이다.
  • 개인용, 중대규모 서버에 사용된다.
  • 데비안, 레드헷, Fedora, Ubuntu, CentOS와 같이 다양한 버전으로 다양한 회사에서 출시되었다.

4) iOS

  • Apple사에서 개발한 유닉스 기반 모바일 운영체제로 하드웨어의 번들이다.
  • 아이폰, 아이패드 등 Apple사 제품에만 탑재 가능하다.
  •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에 사용된다

5) Android

  • Google사에서 개발한 리눅스 기반 모바일 운영체제로 무료이다.
  • 스마트폰 및 태블릿 PC 등 휴대용 장치에서 주로 사용된다.
  • 모든 코드가 공개되어 있는 개방형 소프트웨어이다.
  • 자바, 코틀린 등을 이용해 애플리케이션 작성이 가능하다.
  • 생산성이 높으며 전문 지식이 없어도 개발 가능하다.

02. 운영체제 기본 명령어

1) CLI

  • 사용자가 직접 명령어를 입력하여 컴퓨터 시스템에게 명령을 내리는 방식이다.
  • 사용자와 컴퓨터 간 텍스트 터미널을 통해 상호작용하는 방식이다.
  • 텍스트 기반의 작업환경으로, 사용자가 키보드 등을 통해 문자열 형태로 명령을 입력하고, 출력도 문자열 혈태로 출력된다.

2) GUI

  • 사용자가 마우스 등을 통해 윈도우에서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파일을 이동하는 방식이다.
  • 제어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자아 컴퓨터가 상호작용하는 방식이다.
  • 마우스 기반의 제어 시스템인 GUI가 제공되고 설치도 화면 위주로 사용한다.

3) UNIX의 주요 명령어

  • cat : 파일 내용을 화면에 표시함
  • chmod : 파일의 보호모드를 설정하여 파일의 사용허가를 지정함
  • chown : 소유자를 변경함
  • exec : 새로운 프로세스를 수행함
  • fork : 새로운 프로세스를 생성함
  • ls : 현재 디렉터리 내의 파일 목록을 확인함
  • ps : 현재 프로세스의 상태 확인
  • cp : 파일 복사

4) 파일 권한 설정

  • 파일 권한과 8진수값 : r(read, 읽기, 4), w(write, 쓰기, 2), x(execute, 실행, 1)
  • 사용자 : 파일 소유자, 특정그룹, 그 외 사용자
  • ex)-rwxr-xr-x
    • 파일 소유자 : rwx(읽기, 쓰기, 실행 가능 4+2+1=7)
    • 특정 그룹 : r-x(읽기, 실행 가능 4+1 =5)
    • 그 외 사용자 : r-x(읽기, 실행 가능 4+1 =5)