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/정보처리산업기사

프로그래밍 언어의 개요 - 데이터 타입

jjh0119 2025. 3. 21. 17:06

01. 데이터 타입의 정의

  • 자료형이란 변수가 가질 수 있는 데이터의 유형이다.
  • 프로그램을 작성 시 자료형을 결정하여 변수를 선언한다.
  • 프로그래밍 언어에 따라 데이터 타입에 차이가 있다.

02. 데이터 타입의 분류

1) 기본 데이터 타입

  • 정해진 구조 외에 다른 구조를 가질 수 없는 자료형이다.
  • 종류 : 논리형, 문자형, 정수형, 실수형

2) 구조적 데이터 타입

  • 기본 자료형으로부터 파생하여 만든 자료형이다.
  • 종류 : 배열, 레코드, 포인터형, 문자열형

03. 기본 데이터 타입

1) 논리형(Boolean Type)

  • 참값과 거짓값의 상수를 ㅛ현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
  • 두 상수 값만 존재
  • C언어의 기본 데이터 타입은 아님

2) 문자형(Character Type)

  • 단일 문자의 자료형
  • 작은따옴표로 표현된 상수들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

3) 정수형(Integer Type)

  • 고정 소수점 타입
  • 부호는 있고, 소수점이 없는 정수 상수들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

4) 실수형(Floating Type)

  • 부동 소수점 타입
  • 부호와 소수점이 있는 실수 상수들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

04. 구조적 데이터 타입

1) 배열

  • 동일한 유형의 값들을 모아 놓은 자료형
  • 순차 구조이고, 첨자로 배열 원소를 구별함
  • 1차원 구조와 2차원 이상의 다차원 구조로 구성할 수 있음

2) 레코드

  • 서로 다른 유형의 값들을 모아 놓은 자료형
  • 이름으로 원소를 구별

3) 포인터형

  • 객체를 참조하기 위해 메모리의 주소를 값으로 하는 자료형
  • 하나의 자료에 동시에 많은 리스트의 연결이 가능
  • 커다란 배열의 원소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자 할 때 이용
  • 고급 언어에서 주로 사용되는 기법
  • 지원 프로그래밍 언어 : C,C++

4) 문자열형

  • 문자열의 자료형
  • 큰따옴표로 표현된 상수들을 표현할 때 사용하는 자료형
  • 기본 데이터 타입이 아님

05. 프로그래밍 언어의 기본 데이터 타입 및 크기

  • 자료형의 예약어는 모두 소문자
  • 문자열형은 기본 데이터 타입이 아님
  • C++언어의 논리형 예약어는 bool
  • Python의 long형은 무한 크기
  • C# 언어의 실수형에는 decimal(16byte)이 있음

1) C언어

  • 정수형 : short(2), int(4), long(4), unsigned
  • 실수형 : float(4), double(8), long double
  • 문자형 : char(1), unsigned char
  • 형 없음 : void

2) Java언어

  • 정수형 : byte(1), short(2), int(4), long(8)
  • 실수형 : float(4), double(8)
  • 문자형 : char(2)
  • 논리형 : boolean(1)
  • 형 없음 : void