Algorithm/Problem solving
[백준/Java] 28279 덱2
jjh0119
2025. 3. 25. 18:32
[문제 링크]
문제
정수를 저장하는 덱을 구현한 다음, 입력으로 주어지는 명령을 처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명령은 총 여덟 가지이다.
- 1 X: 정수 X를 덱의 앞에 넣는다. (1 ≤ X ≤ 100,000)
- 2 X: 정수 X를 덱의 뒤에 넣는다. (1 ≤ X ≤ 100,000)
- 3: 덱에 정수가 있다면 맨 앞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. 없다면 -1을 대신 출력한다.
- 4: 덱에 정수가 있다면 맨 뒤의 정수를 빼고 출력한다. 없다면 -1을 대신 출력한다.
- 5: 덱에 들어있는 정수의 개수를 출력한다.
- 6: 덱이 비어있으면 1, 아니면 0을 출력한다.
- 7: 덱에 정수가 있다면 맨 앞의 정수를 출력한다. 없다면 -1을 대신 출력한다.
- 8: 덱에 정수가 있다면 맨 뒤의 정수를 출력한다. 없다면 -1을 대신 출력한다.
입력
첫째 줄에 명령의 수 N이 주어진다. (1 ≤ N ≤ 1,000,000)
둘째 줄부터 N개 줄에 명령이 하나씩 주어진다.
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은 하나 이상 주어진다.
출력
출력을 요구하는 명령이 주어질 때마다 명령의 결과를 한 줄에 하나씩 출력한다.
풀이
Deque란 선입선출 방식으로 작동하는 보통의 Queue와 다르게 양방향으로 작동하는 자료구조를 말한다.
즉 요소를 앞에서 집어넣고 뒤에서 뺄 수도 있다는 것인데 일반적인 List가 컨테이너의 양끝 요소에 접근하여 삽입 또는 제거를 할 경우 O(n)의 시간이 소요되는 데 반해, Deque는 O(1)만에 연산이 가능하다.
그리고 이번 문제는 그런 Deque를 활용해 명령에 맞는 실행문을 만들어주기만 하면 된다.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*;
public class Main {
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StringTokenizer st;
Deque<Integer> deque = new ArrayDeque<>();
int N = Integer.parseInt(br.readLine());
for (int i = 0; i < N; i++) {
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switch (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) {
case 1:
deque.addFirst(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);
break;
case 2:
deque.addLast(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);
break;
case 3:
if (deque.isEmpty()) {
bw.write(-1 + "\n");
} else {
bw.write(deque.pollFirst() + "\n");
}
break;
case 4:
if (deque.isEmpty()) {
bw.write(-1 + "\n");
} else {
bw.write(deque.pollLast() + "\n");
}
break;
case 5:
bw.write(deque.size() + "\n");
break;
case 6:
if (deque.isEmpty()) {
bw.write(1 + "\n");
} else {
bw.write(0 + "\n");
}
break;
case 7:
if (deque.isEmpty()) {
bw.write(-1 + "\n");
} else {
bw.write(deque.peekFirst() + "\n");
}
break;
case 8:
if (deque.isEmpty()) {
bw.write(-1 + "\n");
} else {
bw.write(deque.peekLast() + "\n");
}
break;
default:
break;
}
}
bw.flush();
bw.close();
br.close();
}
}