CS/정보처리산업기사
운영체제 기초 활용 - 디스크 관리
jjh0119
2025. 3. 21. 16:47
01. 디스크 스케줄링
- 디스크에서 찾고자 하는 데이터가 여러 곳에 흩어져 있을 때 헤드가 움직일 방향(순서)를 결정한다.
- 목적 : 처리량 극대환, 평균 응답시간 단축, 응답시간 편차 최소화
02. 디스크 스케줄링의 종류
1) FCFS(First Come First Served)
- 가장 간단한 스케줄링 형태로, 요청한 순서대로 서비스해 주는 방법이다.
- 도착 순서에 따라 실행순서가 고정된다는 점에서 공평하다.
2) SSTF(Shortest Seek Time First)
- 탐색 거리가 가장 짧은 요청이 먼저 서비스를 받는 기법이다.
- 응답시간에 편차가 크고, 기아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.
3) SCAN
- SSTF의 개선 기법
- 진행방향상의 가장 짧은 거리에 있는 요청을 먼저 수행한다.
- 디스크 헤드가 맨 바깥쪽 트랙에서 가장 안쪽 트랙으로 이동하면서 해당되는 트랙에 대한 요구를 차례대로 서비스해 주는 방법이다.